for ( i=0; i<10; i++ ) {
console.log(i)
}
for 문 등에 자주 등장하는 i 는 iterator의 약자이다. iterator의 뜻은 '~을 반복하다' 라는 뜻
'개발 자투리 교양 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wt (0) | 2021.09.23 |
---|---|
리눅스란? (0) | 2019.02.11 |
for ( i=0; i<10; i++ ) {
console.log(i)
}
for 문 등에 자주 등장하는 i 는 iterator의 약자이다. iterator의 뜻은 '~을 반복하다' 라는 뜻
jwt (0) | 2021.09.23 |
---|---|
리눅스란? (0) | 2019.02.11 |
do while 문 (평가전 루프)
형식 : do { statement } while (조건 )
내용 : 적어도 한 번은 코드 블럭을 실행한 후 루프를 끝 낼 조건 검토 -> 조건에 따라 루프를 반복하거나, 루프를 끝낸다.
특징 : 적어도 한 번은 코드를 실행시키고 싶을때 사용한다.
break, continue (0) | 2019.01.11 |
---|---|
문장 레이블 (0) | 2019.01.11 |
쉼표 연산자 (0) | 2019.01.10 |
동일/비동일 연산자( == , !=) vs 일치/비일치 연산자( === , !== ) (0) | 2019.01.10 |
뺄셈 연산 (0) | 2019.01.10 |
var num1 = 1 , num2 = 2, num3 = 3
var num = (1,3,4,6) // 이 경우 마지막 값인 6이 할당됨
(특별한 뭔가가 있는줄 알았더니) 단순히 여러 문장을 한 문장으로 합칠 때 쓴다.
문장 레이블 (0) | 2019.01.11 |
---|---|
do while (0) | 2019.01.11 |
동일/비동일 연산자( == , !=) vs 일치/비일치 연산자( === , !== ) (0) | 2019.01.10 |
뺄셈 연산 (0) | 2019.01.10 |
논리 OR 연산자 || (0) | 2019.01.10 |
동일/비동일 연산자( == , !=) VS 일치/비일치 연산자( === , !== )
특징 :
1. 두 개의 값을 비교한다는 면에서는 같지만, 동일 / 비동일 연산자는 "a" == 3 일경우 "a" 문자열을 타입 변환을 한 후에 비교하고, 비일치 연산자는 타입변환을 하지 않고 비교한다.
2. null, undefined는 동일하다.
3. 동일 여부를 평가할 때 null, undefined를 다른 값으로 변환하지 않는다.
4. 피연산자 중 하나가 NaN 값이면 == 연산자는 false, != 연산자는 true를 반환한다.
5. NaN == NaN 의 결과는 false이다.
do while (0) | 2019.01.11 |
---|---|
쉼표 연산자 (0) | 2019.01.10 |
뺄셈 연산 (0) | 2019.01.10 |
논리 OR 연산자 || (0) | 2019.01.10 |
Boolean - 논리 AND 연산자 ( &&) (0) | 2019.01.10 |
1. 피연산자가 number, boolean, undefined, null 이면 Number()함수를 호출해 숫자로 바꿔준 후 뺄셈연산을 한다.
2.피연산자가 객체일 경우 먼저 valueOf() 함수를 호출하고, valueOf()함수가 피연산자에 없는 경우 toString()를 호출하고 문자값을 숫자로 변환한다.
쉼표 연산자 (0) | 2019.01.10 |
---|---|
동일/비동일 연산자( == , !=) vs 일치/비일치 연산자( === , !== ) (0) | 2019.01.10 |
논리 OR 연산자 || (0) | 2019.01.10 |
Boolean - 논리 AND 연산자 ( &&) (0) | 2019.01.10 |
단항 연산자 (2) | 2019.01.09 |
형식 : 값 || 값
특징 : 첫번째 값이 true 이면 두 번째 값은 확인도 하지 않고 true 를 반환한다.
동일/비동일 연산자( == , !=) vs 일치/비일치 연산자( === , !== ) (0) | 2019.01.10 |
---|---|
뺄셈 연산 (0) | 2019.01.10 |
Boolean - 논리 AND 연산자 ( &&) (0) | 2019.01.10 |
단항 연산자 (2) | 2019.01.09 |
isNaN() 함수의 이해 (0) | 2019.01.09 |
형식 : 값 && 값
특징 : 첫번째 값이 true 몇 두 번째 값을 판단하고, 첫번째 값이 false 면 두 번째 값은 평가하지 않는다.
첫번째 값이 true이고 두 번째 값이 정의 되어 있지 않으면 error 처리된다.
동일/비동일 연산자( == , !=) vs 일치/비일치 연산자( === , !== ) (0) | 2019.01.10 |
---|---|
뺄셈 연산 (0) | 2019.01.10 |
논리 OR 연산자 || (0) | 2019.01.10 |
단항 연산자 (2) | 2019.01.09 |
isNaN() 함수의 이해 (0) | 2019.01.09 |
단항연산자 : 단 하나의 값에만 적용되는 연산자. ++ 또는 -- 를 숫자 앞에 쓰면 변수에 값을 추가하거나 빼고, 문장을 평가한다. 단항 연산자를 값 뒤에 붙이면 (예 - 89++) "++" 이 부분을 해당 문장을 해석한 후에 값에 적용하여 연산한다. 따라서 여러 문장에서 단항 연산자를 사용할 경우, 해당 기호를 값 앞에 붙이느냐, 뒤에 붙이느냐에 따라결과값이 달라진다.
예 - var aa = 29
++aa
동일/비동일 연산자( == , !=) vs 일치/비일치 연산자( === , !== ) (0) | 2019.01.10 |
---|---|
뺄셈 연산 (0) | 2019.01.10 |
논리 OR 연산자 || (0) | 2019.01.10 |
Boolean - 논리 AND 연산자 ( &&) (0) | 2019.01.10 |
isNaN() 함수의 이해 (0) | 2019.01.09 |